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도로 교통정보44

제4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('22~'26) 공청회 개최 국토교통부(장관 노형욱)는 「제4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(안)」에 대한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. * (일시/장소) ’21.11. 4.(목) 14:00∼16:00/온라인/전문가, 교통약자 및 일반국민(주최) 국토교통부, (주관) 한국교통안전공단 출처 - 국토교통부 이번 공청회는 코로나-19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온라인으로 개최되며, 관심 있는 국민들은 참가신청 후,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되는 공청회 내용을 확인하고, 자유롭게 의견도 개진할 수 있습니다. 우리나라의 교통약자* 인구는 `20년말 기준 전체 인구(5,183만 명)의 3분의 1 수준(약 29.7%)인 1,540만 명으로 계속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* 장애인, 고령자, 임산부, 영유아를 동.. 2021. 11. 3.
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('21~'30) 확정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(이하 대광위)는 BRT의 체계적 구축을 위한 「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(’21.~’30.)」을 위원회 심의를 거쳐 11.3. 최종 확정하였다고 밝혔습니다. * BRT(Bus Rapid Transit, 간선급행버스체계): 전용주행로, 정류소 등의 시설을 갖추어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 출처 - 국토교통부 「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」은「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」에 따라 수립하는 10년 단위 법정계획으로, 당초 ’18년~’27년을 대상으로 1차 계획이 수립되었으나, 3기 신도시 조성, GTX(광역급행철도) 추진 등 1차 계획 수립 이후 나타난 대도시권 교통여건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이번 수정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. 이번 간선급행버스체계 종.. 2021. 11. 3.
제4차 철도안전 종합계획('23~'27) 수립 추진 국토교통부는 코로나19로 사회 전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, 인공지능(AI)·빅데이터·사물인터넷(IoT)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극 반영된 『제4차 철도안전종합계획(’23~’27)』(이하, 제4차 종합계획) 수립*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. * (법적 근거) 철도안전법 제5조 출처 - 국토교통부 이번 제4차 종합계획은, 지난 제3차 종합계획(’16~’22)에 이어 철도안전 분야의 첨단화·과학화를 통한 철도안전관리 실현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으며,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 1. 제2철도교통관제센터 구축(오송, ’27년 예정) 시 도입 예정인 인공지능·빅데이터 기반의 新철도관제시스템*과, 무인운전 철도차량시스템, 철도 신호통신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결·구성하여, 평상시는 물론.. 2021. 10. 29.
인천 섬 주민 내년부터 시내버스 요금으로 여객선 이용 내년 3월부터 인천지역 섬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시내버스 수준의 요금만 부담하고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. 인천광역시는 2022년 3월 1일부터 ‘섬 주민 여객선 시내버스 요금제’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. 출처 - 인천시 ‘찾아가는 시장실’의 일환으로 10월 28일 대청도를 찾은 박남춘 시장은 ‘대청도 주민과의 대화’에서 주민들에게 이런 계획을 직접 설명했습니다. 현재 상황 인천시 강화군과 옹진군 25개 섬에는 약 1만5천 명의 주민이 거주*하고 있습니다. * 강화군 5개 섬 725명, 옹진군 20개 섬 13,862명 현재 인천시는 섬 주민을 대상으로 여객선 운임이 8,340원 미만(생활구간)일 경우에는 운임의 50%를 지원하고, 8,340원 이상의 장거리 구간에 대해서는 섬 주민이 정액으로 5~.. 2021. 10. 29.
반응형